먼 옛날 코흘리기시절 국민학교로 되돌아가 봅시다.
국민학교 입학식 코 닦는 손수건
가슴에 매단 하얀 손수건
지금의 대다수의 학생들은 유치원에서 기본적인 교육을 받고
나아가 기초적인 학습도 이미 사교육에서
마치고 학교에 입학하지만 우리가
학교에 입학하던 때는 학교에서 하나부터
열까지 가르쳐야 했던 시절이다.
예나 지금이나 부모님의 손을 잡고 학교에 가서
입학식을 하는 것으로 학창시절이 시작된다.
입학식 날 한쪽 가슴에는 학년 반이 적힌 명찰을 달고
그 아래에 코 닦는 하얀 손수건을 달고 서 있었다.
지금 아이들은 이해조차 힘들지만 입학하는 아이들의 가슴에는
어른들의 훈장처럼 하얀 손수건을 가슴에 달고서
입학식에 가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여기던 시절이다.
그 당시에는 너나 할 것 없이 왜 그리
당시에는 나일론 재질의 옷이 많아서 코를 닦고 나면
기름칠한 것처럼
유난히도 옷깃은 까맣게 번들거렸다.
나일론 옷은 질기고 바람을 잘 막아 주는 반면에 불에 약해서
추위에 불 가까이 가면 쪼그려 붙어서 옷을 태우기 일쑤였다.
즐거운(?) 시험시간
가슴 떨리는 통지표
석탄도 없어서 나무토막으로 불을 피우던 난로 위 도시락
추억의 시절 알루미늄도시락(변도)
아~~~흰 쌀밥 위에 계란(변도&도시락)
추억속의 풍금
국민교육헌장
국민교육헌장
'국민학교'에서 누구나 외워야 했던 국민교육헌장
국민교육헌장을 암기해야 했던 것은 물론
국민학생들뿐이 아니었다.
중고교생들도 암기해야 했던 것은 물론
(모든 교과서 앞머리에 실리기도 했다),
입학시험과 국가고시 심지어 입사시험에도 사실상
의무적으로 관련
문제가 출제되었기 때문에,
국민교육헌장을 피할 길은 없었다.
국민교육헌장의 시대는 민주보다 반공이 앞서고
(반공 민주 정신에 투철한 애국애족이 우리의 삶의 길),
개인보다 국가가 우선시되는
(나라의 융성이 나의 발전의 근본) 시대였다.
문민정부 (文民政府, 1993년~1998년, 김영삼대통령)
시절인 1994년,
국민교육헌장은 교과서에서 삭제되고 공식적인
기능이 사실상 소멸됐다.
학생의 공부방
학교에서 학부형 사친회가 있는 날
빛바랜 각종 상장
국민학교 각종 과목교과서
1947년도 민족저항기 음악교과서
선교사들이 쓰던 발로밟아 공기압축으로 소리내던 풍금
출제시험지 등사기
우체부배달 가방
축구공이 귀해서 새끼뭉치로 공차고,재기차기,
구슬치기 팽이치기,딱지치기 등
빡빡머리 깍기 이발기계
트럼뺏과 색소폰
성호교 어린이들이 주로 애용한 문방구는 학교만큼이나
유명했던 학교앞 성호당과 우리문방구
미술시간에 꼭 가져가야 했던 크레파스와
미술도구들을 아침에 잊어 버리고
챙겨오지 못할때도 많았고 애들은 초록색 책상에서연필
따먹기놀이와 연필촉부러뜨리기
지우개 따먹기놀이도 많이했었지
등교때와 방과후에 등장했던 학교앞의 잡상인
번데기장수,버들붕어장수, 병아리장수,소년동아일보장수,
생강엿장수,솜사탕장수,
음악시간에 그 무거웠던 무게로 인하여 당번이나
분단별로 교실로 들어날랐던 그 시절 강당의 풍금
60~70년대 혼분식 장려운동으로 흰쌀밥만
싸오던 애들은 교육감의
점심시간 시찰에 선생님의 지시에 황급히 도시락
뚜껑을 닫았던적도 있었지.
반찬통에 고무밴드가 잘 벗겨져 가방에 김치국물이 흘러내려
애들 교과서와 공책에 배여버리기도 했던
선학 알미늄의 양은 도시락.
그때 그시절 그 추억속의 국민학교 시절에
학교종이 땡땡땡 이야기 모음
♪♬학교 종이~ 땡땡땡!!! 어서 모이자!!!
선생님이 우리를 기다리신다~♪♬
지난 2006년 2월 101세의 나이로 미국에서 작고한
故김메리 여사가 1945년 광복 직후 작사·작곡한 동요다.
♪♬학교 종이 땡땡땡 어서 모이자~♪♬
동요(노래) 제목 : 학교종, (故) 김메리 작사 작곡 - 악보<
누구나 초등학교에 입학하면 제일 먼저 배우는 노래였다.
노래말에 나오는 학교 종은 銅(동)으로 만든
작은 종을 손으로 쳐서 울린다.
요즘은 학교 종 대신 차임벨 소리나 짧은 음악이
수업시간의 시작과 끝을 알린다.
우리 귀에 너무나 익숙한 동요다.몽당연필로 침을 묻혀
누런 공책에 꾹꾹 눌러
글을 쓰며 공부했던 학창시절의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학교 종소리.
이제 학교종은 역사가 오래된 학교에 간혹 기념물로
걸려있는 골동품일 뿐이다.
학교 종소리도 동요가사에나 남아 있을까 실제로는 듣기 어렵다.
수업의 시작과 마침을 알려주는 이 종은 1970년대
이후 방송시설이 발달되면서
사라지게 되었는데 수업을 시작할 때는 들어와 세번,
수업이 끝날때는 두번,
운동장으로 모여는 다섯번씩 서너번,그리고 화재등
비상사태는 연속하여 쳤다
1. 양초로 반질반질 광을 낸 복도를 아이들이
쿵쾅거리며 뛰어 들어온다.
2. 칠판지우개를 먼지털이 뒷부분으로 두드리면
선명한 줄자국이 났다.
3. 백묵으로 칠판에 글씨를 쓰면 뽀득뽀득 소리가 났다.
4. 학교종 소리는 잃어버린 동심의 세계와 향수를 일깨운다.
이젠 아련한 추억으로 남은 그때 그시절 다시
돌아갈 수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저희가 국민학교 다닐 때는 운동장에 발디딜 틈없이 전교생이 10,000 여 명이
넘었는데 요즘은 전교생이 39명 뿐이랍니다.
'♣~*즐거운 쉼터*~♣ > 그때그시절(향수에젖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때 그 시절/우리도 이럴 때가 있었다 (0) | 2012.10.03 |
---|---|
49~51년도의 아련한 옛추억 ...엣날이 (0) | 2012.08.22 |
그때 그시절 앗! 옛날 사진이다..그랬었지 (0) | 2012.01.31 |
그때 그시절 (1949년도 서울) (0) | 2012.01.30 |
70년대 말 고등학교 교련시간의 추억 (0) | 2012.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