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성 음악산책 ···♣/ ♬명상·글 음악♬

대자대비하신 부처님 후광

무정애환 2011. 5. 9. 10:42

 
 

 

    대자대비하신 부처님 후광 글 / 赤 壁 정행호 밤과 낮을 선도하는 일월성신(日 月 星 辰), 찬란한 광채로다! 대자대비(大 慈 大 悲)하신 불보살(佛 菩薩)님 후광이 온누리 중생을 대 본원(大 本 願 )의 염원으로 가호하시는 생명의 빛이요, 희망의 빛, 팔 고(八苦)의 괴로움을 안고 살아가는 인간 심성을 자애로움으로 제도(濟度)하는 고귀한 진리, 공 즉시 색(空 卽 是 色)이라! 만물의 본성인 공이 연속적인 인연에 의하여 임시로 다양한 만물로서 존재함이던가? 일체 유 위(一 切 有 爲)의 법칙 속에 생기고 없어짐이리니! 부처님의 크고 높으신 명망, 사무량심(四 無 量 心)의 원대한 뜻, 영원불변(永遠不變)함이리라! 낱말 풀이 (1) 일월성신(日月星辰) / [명사] 해와 달과 별을 통틀어 이르는 말. (2) 대자대비(大 慈 大 悲) / [명사] [불교] 넓고 커서 끝이 없는 부처와 보살의 자비. 특히 관세음 보살이 중생을 사랑하고 불쌍히 여기는 마음을 이른다. (3) 불보살(佛 菩薩) / (한자사전) 부처와 보살(菩薩) (4)대 본원(大 本 願 ) / (한자사전) 불타(佛陀)가 중생(衆生)을 제도(濟度)하려는 큰 염원(念願) (5) 팔 고(八苦) / (한자사전) 인생(人生)이 겪는 여덟 가지 괴로움. 생고(生苦), 노고(老苦), 병고(病苦), 사고(死苦), 애별리고(哀別離苦), 원증회고(怨憎會苦), 구부득고(求不得苦), 오음성고(五陰盛苦) (6) 공 즉시 색(空 卽 是 色) / (한자사전) 우주(宇宙) 만물(萬物)은 다 실체(實體)가 없는 공허(空虛)한 것이지만, 인연(因緣)의 상관(相關) 관계(關係)에 의(依)해 그대로 제각기 별개(別個)의 존재(存在)로서 존재(存在)한다는 반야심경(般若心經)의 말, (7) 일체 유위(一 切 有 爲) / (국어사전) [명사] [불교] 세상의 모든 현상과 법칙은 다 인연으로 생기고 없어진다는 말. (8) 사무량심(四 無 量 心) / [명사] [불교] 모든 원한을 버리고 중생을 차별하지 아니하는 보살의 네 가지 마음. 자무량심, 비무량심, 희무량심, 사무량심을 이른다.